DSLR의 애칭이 자신의 DSLR에 대한 애착에서 비롯됐다면, 렌즈의 애칭은 제품명이 길고 어렵기 때문에 생겨났다.
예를 들어, 캐논 EF 70-200mm F2.8 L IS USM 렌즈의 경우 모델명이 너무 길고 복잡해, 잘 모르는 사람이라면
어떻게 읽어야 하는지조차 난감하다. 그래서 쉽게 부르기 위해 ‘백통’이라는 애칭을 붙였다. 긴 통모양의 하얀색
렌즈이기 때문이다.
이 렌즈의 경우 성능과 가격 차이를 두고 4가지 모델이 발매되고 있는데,
각각의 별명은 아빠백통, 엄마백통, 형아백통, 애기백통이다. 참으로 재미있는 발상이 아닐 수 없다.
EF 100mm f2.8 Macro USM 렌즈의 경우, 작은 물체를 가깝고도 선명하게 촬영할 수 있는 마크로(접사) 렌즈다.
역시 모델명이 길고 복잡하기 때문에 ‘백마’라는 애칭으로 불리우고 있다. ‘백미리 마크로’의 준말이다.
EF 85mm f1.2 L USM 렌즈의 경우 특유의 생김새로 ‘만두’라고 불리우며,
Sigma APO 70-300mm F/4-5.6 MACRO SUPER 렌즈의 경우 마름모꼴의 생김새로 ‘고구마’라고 불리운다.
제품 |
애칭 |
의미 |
|
아빠백통 |
긴 통모양의 하얀 렌즈. 4종류의 70-200mm 모델 중 F2.8 조리개값과 손떨림 방지기능이 있어 가장 비싸고 크고 무거움. |
엄마백통 |
긴 통모양의 하얀 렌즈. 아빠백통에서 손떨림 보정기능이 없는 제품. | |
|
형아백통 |
긴 통모양의 하얀 렌즈. 손떨림보정기능이 있으나 F4의 조리개값으로 구경이 작고 가벼움. |
애기백통 |
긴 통모양의 하얀 렌즈. F4의 조리개값으로 가볍고, 손떨림보정기능 없음. | |
|
대포 |
대포처럼 큰 구경과 길이를 가진 렌즈. 카메라에 장착하면 대포같음. |
애기대포 |
대포인 200mm와 초점거리가 같지만, F2.8의 조리개값으로 작고 가벼움. | |
백마 |
백미리 마크로의 준말. | |
만두 |
모양이 만두 같이 생겼음. | |
|
만투 |
만두의 신제품. 만두투의 준말. |
애기만두 |
만두와 같은 85mm지만, F1.8의 조리개값으로 작고 가벼움. (여친렌즈) | |
오이만두 |
'오'십미리 에프일쩜'이'의 준말. 역시 만두처럼 생겼음. | |
쩜사 |
조리개값인 일쩜사의 준말. | |
쩜팔 |
조리개값인 일쩜팔의 준말. | |
사무엘 |
삼십오미리 엘렌즈의 준말. | |
이사벨 |
이십사미리 엘렌즈의 준말. | |
애기번들 |
니콘의 작고 저렴한 번들렌즈. | |
아빠번들 |
애기번들보다 크고 비싼 번들렌즈. | |
할배번들 |
아빠번들보다 크고 비싼 번들렌즈. | |
삼식이 |
삼십미리에서 유래. | |
고구마 |
고구마처럼 생겼음. | |
|
이빨치료 |
초점거리인 이팔칠오에서 유래. |
애칭은 양날의 검
애칭을 사용하면 지나치게 긴 모델명이나 어려운 영문 모델명의 제품을 쉽게 부르고 쓸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 제품을 의인화시켜 더욱 애착을 갖고 제품을 아껴 사용할 수 있다는 점도 순기능이다.
반면, 새롭게 DSLR에 입문하는 초보자의 경우, 생소한 애칭들 때문에 정확히 어떤 기종을 말하는 것인지 혼란을 겪기 쉽다.
또, 특정 제품에 대한 글을 검색할 때, 정식모델명과 애칭을 각각 따로 검색해야 하는 불편함도 따른다.
예를 들어 D80에 대한 글을 보고 싶다면 'D80'과 '덕팔이'로 두 번 검색해야 좀 더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렇듯 애칭의 순기능과 역기능에 대해 논란이 많은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DSLR 사용자들이 자신의 DSLR을 소중히 여기는 마음이 있는한,
이런 애칭 붙이기 열기는 쉽게 사그라지지 않을 듯 싶다.
카메라 브랜드별 약식 용어
캐논 렌즈
•DO(Diffractive Optics) - 회절렌즈가 들어간 렌즈로, 색수차와 구면수차를 줄여 성능을 향상시키고 무게를 줄였다.
예) EF 70-300㎜ F4.5-5.6 DO IS USM
•EF(Electric Focus) - 전기 방식으로 초점을 맞추는 렌즈로, AF렌즈 앞에 붙는다. 예) EF 24-70㎜ F2.8L USM
•IS(Image Stabilizer) - 렌즈에 흔들림이 발생할 때 자이로스코프 센서를 작동시켜 이를 방지하는 렌즈이다.
예) EF-S 18-55㎜ F3.5-5.6 IS
•L(Luxury) - 고급이란 뜻으로 비구면 렌즈, 초저분산 유리, 초음파 모터, 특수 코딩 등의 기술이 수반된 캐논의 최고급 렌즈.
예) EF 17-40㎜ F4L USM
•USM(Ultra Sonic Motor) - 초음파 진동에너지로 모터를 회전시키면 소음이 적고 빠르게 구동된다.
USM은 큰 조리개와 슈퍼 망원렌즈에서 사용되는 링 타입과 콤팩트한 렌즈에 사용되는 마이크로
방식 등 두 가지 종류로 나뉜다. 예) EF 70-200㎜ F2.8L IS USM
시그마 렌즈
•APO(Apochromatic) - 색수차를 최소화한 망원 렌즈 군으로, 특수 저분산 유리를 사용한다.
예) APO 70-200㎜ F2.8 II EX DG Macro HSM
•ASP(Asperical) - 비구면 렌즈를 사용한 고성능 렌즈 군으로, 렌즈 구성 매수를 최소화해서 외형이 콤팩트하다.
예) 28㎜ F1.8 EX DG ASP MACRO
•DG - 광각에 최단거리가 짧은 대구경 렌즈로, 주변 광량이 풍부하며 풀 프레임에 사용가능하다.
예) 105㎜ F2.8 EX DG MACRO
•DC - 크롭(crop) 바디에 사용 가능한 렌즈이다. 예) 55-200㎜ F4-5.6 DC
•EX(Exellent) - 말 그대로 최신 기술을 집약한 시그마의 대표 렌즈다. 예) 50㎜ F1.4 EX DG HSM
•HSM(Hyper Sonic Motor) - 초음파 구동 모터를 장착한 렌즈로 고속, 저소음의 AF가 장점이다.
예) 30㎜ F1.4 EX DC HSM
•IF(Inner Focus) - 렌즈 내부에서 렌즈를 이동시켜 초점을 맞추는 방식으로, 렌즈의 경통길이가 변하지 않는 렌즈다.
예) 180㎜ F3.5 APO MACRO EX IF HSM
•OS(Optical Stabilizer) - 카메라의 흔들림을 자동으로 인지하고 이미지 블레어 현상을 방지하는 렌즈로 광학안정장치
모드가 장착되어 있다. 예) 18-200㎜ F3.5-6.3 DC OS
•RF(Rear Focus) - 스피드와 저소음이 특징인 렌즈로, 후부 렌즈 군을 이동하는 포커싱 방식을 채용했다.
예) 20㎜ F1.8 EX DG ASP RF
탐론 렌즈
•AD(Anomalous Dispersion) - 이상부분 분산렌즈로 특정파장의 분산 요소를 컨트롤할 수 있으며,
망원렌즈의 축상 색수차와 렌즈 측면의 색수차를 효과적으로 보정할 수 있다.
예) AF 24-135㎜ F3.5-5.6 AD ASP IF
•ASL(Aspherical) - 비구면 렌즈로 화질을 높인 소형 렌즈다. 예) SP AF28-70㎜ F2.8 XR Di LD ASL
•Di(Digitally Integrated Design) - 보통 Di와 DiⅡ로 나뉘는데, Di는 카메라의 촬상면에 광량을 골고루 분포하기
위해 굴절률만 조정하며, DiⅡ는 DSLR 카메라의 촬상소자에 따라 이미지 서클을 축소하므로 필름카메라에 사용하면
비네팅이 생긴다. 예) AF18-200㎜ F3.5-6.3 XR Di II
•LD(Low Dispersion) - 저분산 렌즈를 사용해 색수차를 보정하므로 색상의 선명도를 높일 수 있다.
예) AF 70-300㎜ F4-5.6 Di LD MACRO
•SP(Super Performance) - 탐론의 첨단기술이 결합된 고급사양의 렌즈로, 견고한 마감 이 돋보인다.
예) SP AF 17-50㎜ F2.8 XR Di Ⅱ LD Aspherical[IF]
•XR(Extra Refractive Index) - 동일 조리개 값을 유지하면서 작은 렌즈 직경을 지닌다.
예) AF 28-200㎜ F3.8-5.6 XR ASP IF
니콘 렌즈
•AF-S(Auto Focus Silent) - 저소음 모터 내장형 렌즈로 기존의 AF-I보다 소음이 적고,
가벼우며 신속하게 초점을 잡아주는 초음파 모터를 사용했다.
예) AF-S DX VR Zoom Nikkor ED 55-200㎜ F4-5.6G IF
•DC(Defocus Image Contr ol) - 피사계 심도를 조절할 수 있는 특수한 렌즈로,
별도의 DC링을 조절하여 범위, 피사계 심도 등을 조절 할 수 있다.
예) AF DC Nikkor 135㎜ F2D
•DX - 35㎜ 필름 사이즈에 비해 약 1.5배 작은 촬상소자로 DSLR 카메라의 크롭(crop) 바디에 맞게 나온 렌즈다.
이 렌즈를 이용해 1:1 바디 카메라와 필름카메라로 촬영하면 비네팅이 발생한다.
예) AF-S DX Nikkor 18-55㎜ F3.5-5.6G VR
•ED(Extra low-Dispertion) - 초저분산으로 망원렌즈에서 주로 발생하는 색수차를 줄이기 위해 수차가 적은
특수 유리로 가공된 렌즈 이다. 예) AF Nikkor ED 70-300㎜ F4-5.6D
•G - AF 전용렌즈로, 조리개 조절링이 없다. 따라서 카메라 바디에서 조리개 값을 조절해야 하며,
렌즈 바디는 플라스틱으로 구성되어 가벼운 편이다. 예) AF-S VR MICRO Nikkor ED 105㎜ F2.8G IF
•IF(Inner Focus) - 초점을 맞출 때 경통이 회전하지 않고 오토포커싱 방식으로, 렌즈의 길이에 변화가 없이
내부에서 초점 작업이 이뤄진다. 예) AF Zoom Nikkor 24-85㎜ F2.8-4D IF
•VR(Vibration Reduction) - 손 떨림 방지를 의미하는 이 기능은 주로 고가의 망원렌즈에 많이 쓰이며,
광량이 부족하거나 패닝 효과 구현 시 사진이 흔들리는 것을 막아준다. 예) AF-S VR Nikkor ED 200㎜ F2G IF
•Nikkor - 니콜 또는 니코르로 불리며, 니콘에서 제작한 렌즈를 의미한다. 예) Nikkor 85㎜ F1.4D IF
토키나 렌즈
•AT-X(Advanced Technlogy-Extra) - 토키나의 가장 진보된 디자인과 제조 기술을 이용해 우수한 렌즈를 만들어 내는 것을 뜻한다. 예) AT-X 165 PRO DX 16-50㎜ F2.8
•DX - 디지털카메라 중 크롭바디 전용렌즈이다. 예) AT-X 535 PRO DX 50-135㎜ F2.8
•SD(Super Low Dispersion) - 색수차를 줄이기 위한 렌즈이며, 이 렌즈들은 색수차에 의한 2차 스펙트럼과 노이즈를 최소화 한다. 예) AT-X SD 300㎜ F2.8
•PRO(Professional) - 고정 조리개가 탑재된 렌즈를 말한다. 예) AT-X 116 PRO DX 11-16㎜ F2.8
소니 렌즈
•G - 대구경 고급렌즈로 광각렌즈에서는 비구면 렌즈를 망원계열에서는 저분산 유리의 일종인 ED 렌즈를 사용하고 있다.
예) SAL 70-200㎜ F2.8G
•ZA(Zeiss Alpha (Mount)) - 칼자이스 렌즈의 알파마운트 버전을 뜻한다. 예) Planar T* 85㎜ F1.4 ZA
•DT - 디지털 크롭 바디에 쓰이는 전용렌즈이다. 예) DT 18-250㎜
•SSM(Supersonic wave Motor) - 초음파 모터를 사용하여 AF시 소음 없이 초점을 잡아주고,
일반 전동모터보다 빠르며 전원소비가 적다.
예) SAL 70-300㎜ F4.5-5.6G SSM
•STF(Smooth Trans Focus) - 구면수차를 이용한 특수 렌즈로, 주 피사체에 포커스를 고정한 채로 피사체 전후의
심도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다. 예) SAL 135㎜ F2.8 [T4.5] STF
펜탁스 렌즈
•K(smc PENTAX-K)- 지난 1974년, K마운트에서 최초로 사용된 K렌즈는 수동으로 조작이 가능하고, 현재 단종되었다.
•M(smc PENTAX-M) - 1976년에 발표된 M렌즈는 K렌즈보다 작고 가벼우며, 매뉴얼 노출과 조리개 우선 자동 노출을 지원.
예) SMC M 50㎜ F1.4
•A(smc PENTAX-A) - 1983년, 출시된 A렌즈는 매뉴얼 노출, 조리개 우선 자동노출, 셔터 우선과 프로그램 자동 노출을 추가
. 예) SMC A 50㎜ F1.2
•F(smc PENTAX-F) - 1986년에 발표된 렌즈이며, AF기능을 탑재하고 매뉴얼 노출, 조리개 우선, 셔터 우선, 프로그램 자동 기능을 갖췄다.
•FA(smc PENTAX-FA) - 1991년 Z 시리즈 바디와 함께 출시된 렌즈로, F렌즈에 파워 줌 기능과 MTF 노출 기능(최적의 성능이 나오는 조리개를 자동으로 설정해 주는 기능)을 추가했다. 예) FA 50㎜ F1.4
•FAJ(smc PENTAX-FAJ) - 2003년 *ist 시리즈 바디와 함께 출시되었으며, FA렌즈에서 조리개 링을 제거해 카메라 바디에 셔터 우선과 프로그램 노출 기능이 있는 곳에서만 사용할 수 있다. 예) FA J 75-300㎜ F1.4-5.8 AL
•DA(smc PENTAX-DA) - DSLR 카메라 바디의 크롭 전용 렌즈다. 예) DA 16-45㎜ F4 ED AL
•DFA(smc PENTAX-DFA) - 2004년에 나온 디지털과 필름에 최적화된 렌즈로, 조리개 링이 제거되지 않았다.
예) D FA MACRO 50㎜ F2.8
•SMC(Super Multi Coated) - 다층막 코팅 기술로 각종 수차와 왜곡, 난반사를 방지하기 위한 특수 코팅된 렌즈 군이다.
예) SMC DA 17-70㎜ F4 AL[IF] SDM
•AL(Aspherical) - 광각에서 구면 수차로 인한 왜곡 현상을 줄인 비구면 렌즈다.
예) DA ★16-50㎜ F2.8 ED AL[IF] SDM
•ED(Extra-low Dispersion) - 색수차를 줄이는 ED 유리를 사용한 렌즈로, 주로 망원 렌즈에 사용된다.
예) SMC DA ★200㎜ F2.8 ED [IF] SDM
•IF(Internal Focusing) - 렌즈 내부에서만 포커싱이 이뤄져 중량을 줄일 수 있다. 예) DA 12-24㎜ F4 ED AL[IF]
•Limited - 뛰어난 색감과 금속 재질의 외형을 지닌 렌즈로, 고급형 렌즈에 붙이는 호칭이다. 예) FA 43㎜ Limited
•★ - 펜탁스 렌즈 군 중 고급형에 부여된다. 예) DA ★50-135㎜ F2.8 ED AL[IF] SDM
'사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포토샵으로 깔끔한 독사진 만드는 법 알려주세요 (0) | 2010.04.30 |
---|---|
[스크랩] 컴퓨터 각종 오류 해결 (0) | 2010.04.30 |
[스크랩] 초간단 주름살 없애기 (0) | 2010.04.30 |
[스크랩] 랜즈의 이름들 (0) | 2010.04.30 |
[스크랩] 캐논 580EX11 (0) | 2010.04.30 |